코인뉴스(Text)

작년 하반기 가상자산 시가총액 53%↑, 이용자 수도 6%↑…'김치코인' 50종 감소

작성자 정보

  • 코인투자 작성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본문

▲ 크립토(암호화폐)     ©코인리더스

 

작년 하반기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 상승에 따라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43조6천억원으로 같은 해 상반기보다 53%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.

 

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(FIU)은 국내 22개 거래소와 7개 지갑·보관업자를 조사해 이 같은 내용의 '2023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'를 16일 발표했다.

 

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(ETF) 출시를 앞두고 작년 하반기 가상자산 투자심리가 회복하고 가격이 상승하면서 같은 해 상반기 대비 거래규모, 시가총액, 영업이익, 원화예치금이 모두 증가했다.

 

비트코인 가격은 작년 6월 말 3만477달러에서 12월 말 4만2천265달러로 39% 상승한 바 있다.

 

일평균 거래규모는 3조6천억원으로 상반기보다 24% 늘었고, 원화 예치금은 4조9천억원으로 21% 늘었다.

 

일평균 거래 중 원화마켓 거래가 3조5천800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24% 증가했으나, 코인마켓 거래는 41억원으로 44% 감소했다.

 

거래소의 영업이익은 2천693억원으로 18% 늘었다. 원화마켓의 영업이익은 2천968억원이었고, 코인마켓은 27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.

 

거래소 종사자는 총 1천665명으로 상반기 대비 250명 감소했다.

 

신규 상장은 총 159건으로 상반기와 동일했고, 거래중단은 138건으로 20% 증가했다. 전체 가상자산 종목 수는 600종으로 상반기 대비 3.5% 줄었다.

 

이 중 332종은 국내 거래소 1곳에서만 거래되는 단독상장 가상자산이었고, 단독상장 가상자산의 40%인 133종은 한국인이 발행한 가상자산 또는 국내 사업자에서 주로 거래(80% 이상)되는 국내산 가상자산인 이른바 '김치코인'이었다.

 

단독상장 가상자산은 상반기 대비 34종 감소했고, '김치코인'은 50종 감소했다.

 

가상자산 가격 변동성은 61.5%로 상반기(62.4%)와 비슷하게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.

 

가상자산 외부 이전 금액은 38조1천억원으로 28% 늘었다. 이 중 신고사업자에 이전한 금액(트래블룰 적용)이 10조4천억원으로 상반기 대비 57% 급증했다.

 

작년 상반기 하락세를 기록했던 거래 이용자는 6.4% 증가해 645만명을 기록했다.

 

이용자 연령별로는 지난해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30대(29.3%), 40대(28.9%), 20대 이하(18.2%), 50대(17.7%), 60대(5.9%) 순대로 이용자 규모가 컸다.

 

대다수 이용자(416만명, 65%)는 50만원 미만을 보유했고, 1천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10%(67만명)로 6월말 대비 2%p 증가했다.

 

작년 말까지 영업 종료를 공지한 가상자산사업자는 코인마켓 사업자 2개사와 지갑·보관업자 2개사였다.

 

FIU는 "영업을 중단한 가상자산사업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므로 해당 사업자를 통한 가상자산 거래, 보관 등에 각별히 유의해달라"고 말했다.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전체 102,725 / 8 페이지
번호
제목
이름

공포-탐욕 지수


알림 0